-
비행 중 여러 대의 항공기들의 동시에 동일 주파수를 이용하여 DME 정보를 얻고자 합니다. DME 지상 송신소에서는 동일 주파수에서 유사한 전송을 이용해서 사용 중인 모든 항공기에 응답할 수 있어야 합니다. 각 항공기의 수신기는 다른 모든 항공기에서 송출된 응답 신호들 중에서 자신의 것을 식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탐색과 추적 모드
각 항공기의 펄스반복주파수는 초당 30쌍의 펄스이지만 실제 사용되는 PRF는 한 펄스에서 다음 펄스까지 이 펄스 모양의 어느 한쪽 면에 무작위로 작은 지터를 만들어 냅니다. 이것은 각 항공기를 위해서 질문기로부터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쌍의 펄스 사이에서 유일하고 독특한 시간 패턴을 만들어 냅니다. DME 수신기는 수신되고 있는 모든 쌍의 펄스로부터 자신의 질문에 맞는 응답 펄스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가변 지연 기술이 적용됩니다. 지상 송신소를 경유해서 다시 수신된 항공기의 펄스들은 자체의 신호를 식별하기 위해서 원래 순서로 전송된 것과 함께 동시화 됩니다. 탐색 단계에서 항공기 DME는 저장된 시간 간격과 질문 후 동시화된 시간 간격과 일치하는 응답을 찾을 때까지 비교합니다. 이 절차는 대략 2초 이내에 완료됩니다 수신기는 추적 모드가 되고 이때를 LOCKED ON이라 합니다. 이 단계에서 DME는 경사거리를 측정하거나 연속적으로 계산합니다. 수신기 로직 또는 컴퓨터 회로는 항공기 이동을 보상할 수 있도록 응답 예상 시간을 조절합니다. 구형 DME는 전자기계 회로를 사용하고 있고 동시에 수신된 모든 응답 신호의 위치를 기억할 수 없습니다. 그에 따라 탐색 단계가 현대 DME에 비해서 더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이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탐색 단계에서 PRF는 초당 150 펄스까지 증가시킵니다. 만약 15,000 펄스 쌍으로 전송된 후 DME 거리의 지시가 나타나지 않았다면 질문기의 PRF는 최소한 초당 60 펄스 쌍까지 떨어져야 합니다. 일단 자동추적이 수행된 후부터 PRF는 약 25 ppps까지 감소합니다. DME 지상 송시소는 초당 약 2700 펄스쌍을 응답할 수 있기 때문에 평균 약 100대의 항공기에 응답할 수 있습니다. 만약 송신소가 항공기 질문으로 포화된다면 수용 범위 내에서 가장 강한 항공기 신호에 응답합니다. 수신기가 수신할 수 있는 신호의 강도는 민감도, 높이, 거리, 항공기의 전송 출력에 달려 있습니다.
신호제어 탐색
DME를 작동시킨 후 공중탑재 DME에 있는 특수 회로는 동조된 DME 송신소와 수신된 펄스쌍을 점검합니다. 만약 DME가 자동으로 Auto Standby 모드로 전환되지 않으면 이것은 DME 안테나가 가려져 있거나 항공기가 지정된 범위를 벗어나 있음을 나타냅니다. 항공기에서 질문 펄스쌍이 전송되어 지상 DME 송신소에서 수신되었을 때 응답하기 시작하고 공중탑재 DME는 자동으로 서처 모드로 전환됩니다.
메모리 모드
지상 송신소가 고장 났거나 신호가 어떠한 원인으로 차단되었을 때 항공기 수신기는 약 10~15초 동안 경사거리를 계산합니다. 구형 DME 수신기는 마지막 지시 거리만을 저장할 수 있는 정적 메모리를 갖추고 있습니다. 최신 DME 수신기는 지시 거리의 변화율을 저장할 수 있는 속도 메모리를 갖추고 있어 신호가 차단된 상태에서도 적절한 거리정보를 제공합니다. 만약 10~15초 이내에 정상으로 회복되었다면 자동추적을 계속하고 수신된 신호에 따라 필요한 만큼 수정되어 계산됩니다. 만약 신호의 중단이 메모리 시간 이상으로 계속된다면 모든 항공기는 오토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되고 신호가 정상화되었을 때 자동추적 절차가 반복됩니다.
에코 보호
다중경로 신호는 지상 송신소 혹은 항공기에서 에코 효과의 원인이 됩니다. 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지상 송신소의 질문 후 약 60 마이크로초 동안 억제됩니다. 만약 특정 사이트에서 그 이상의 긴 억제 시간이 필요하다면 최대 150㎲까지 연장될 수 있습니다. 이것을 회복 시간 또는 데드 시간이라 합니다. 공중탑재 DME 수신기는 오직 첫 세트의 응답만 수신합니다.
'항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사고조사의 적용범위 및 용어정의 (0) 2023.06.23 GNSS 개발 과정 (0) 2023.06.22 무선항법(거리측정장비) (0) 2023.06.21 무선항법의 정밀도 및 ADF 오차 (0) 2023.06.20 무지향표지시설(NDB 운용) (0) 2023.06.19